Olympus의 핵심 제품
1590년 | 1920년 ~ | 1931년 ~ | 1946년 ~ | 1972년 ~ | 1993년 ~ | 도립현미경 | 실체현미경 | 정량화 | 사진 장치 |
현미경의 역사는 안경 제작자였던 네덜란드 부자의 발명품에서 시작되었으며, 그 후 영국과 독일에서 더욱 발전되었습니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에 현미경을 생산하여 돋보기라는 품목으로 판매했습니다. 그러나 유럽산 현미경보다 성능이 낮았기 때문에 당시 세균학 연구에 참여했던 과학자들은 값비싼 수입품에 의존해야 했습니다.
Olympus의 설립자 야마시타 다케시는 어떻게든 일본산 현미경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그는 1919년에 회사를 세우고 꿈을 이루기 위한 여정에 돌입했습니다. 13년 동안 변함없이 이어진 야마시타의 노력이 시작되는 순간이었습니다.
해외 현미경의 탄생 자세히 보기 | 아사히: 1920년 자세히 보기 | 호마레: 1920년 자세히 보기 | 후지: 1920년 자세히 보기 | 미즈호 GHA: 1925년 자세히 보기 | 쇼와 GK: 1927년 자세히 보기 | 세이카 GE: 1928년 자세히 보기 | 멀티뷰 현미경: 1929년 자세히 보기 | KA 휴대용 현미경: 1934년 자세히 보기 | 제4회 하츠메이 하쿠란카이 박람회 1등상 자세히 보기 |
Olympus는 1920년대 중반에 이르러 모든 현미경 제품구성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1930년부터는 자사 제품을 더욱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고 보다 많은 기능을 탑재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개선된 기능 요소와 디자인 요소를 통합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후지 OCE: 1931년 자세히 보기 | 코카 OCD: 1931년 자세히 보기 | 미즈호 LCE: 1935년 자세히 보기 | 호마레 UCE: 1935년 자세히 보기 | 사진 촬영 시스템 탑재 슈퍼 포토 만능 연구용 현미경: 1938년 자세히 보기 |
Olympus는 2차 세계대전 중 전쟁 피해를 피하고자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는 나가노현으로 현미경 및 카메라 공장을 옮겼습니다. 이는 일시적인 이전이 아니라 새로운 현지 공장을 구축하기 위한 장기적인 계획에 따른 것이었습니다.
Olympus는 전쟁 후 혼돈의 시기 동안 많은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전쟁 중 손상된 본사 하타가야 공장에서 맡았던 역할을 대신하게 된 나가노현 소재의 이나 공장에는 "모노즈쿠리" 제조와 관련된 다양한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Olympus는 특유의 굳은 의지와 정신으로 이런 문제들을 해결했으며, 전후 모델을 기반으로 이나 현장에서 새롭게 출발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날 현미경 사업의 우수한 성과는 Olympus의 한결같은 굳은 의지 덕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GK: 1946년 자세히 보기 | GC: 1947년 자세히 보기 | GB: 1949년 자세히 보기 | DF 생물현미경: 1957년 자세히 보기 | E 현미경 본체: 1958년 자세히 보기 | F 현미경 본체: 1960년 자세히 보기 | 포토맥스 프리미어 범용 현미경: 1966년 자세히 보기 |
과학, 공학 및 기타 분야가 발달하면서 현미경에 대한 요구도 다양해졌습니다. Olympus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제품 포트폴리오를 기능 요소별로 분류하여 현미경을 개발했습니다. 플랫폼 역할을 하는 현미경 본체를 개발하고 응용분야에 따라 AH, BC, CH 시리즈에 도입했습니다. 그 결과, 다양한 모듈을 결합하여 구체적인 목적에 맞게 현미경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AH 시리즈: 1972년 자세히 보기 | BH 시리즈: 1974년 자세히 보기 | CH 시리즈: 1976년 자세히 보기 | BH2 시리즈: 1980년 자세히 보기 | AH2 시리즈: 1983년 자세히 보기 |
대물 렌즈는 현미경의 광학 성능을 결정짓습니다. Olympus는 렌즈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기계 가공 및 조립 기술을 계속해서 개선하고 있습니다. 또한, 광범위한 분야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현미경 디자인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을 추구했습니다.
Olympus는 렌즈 기술 및 최첨단 디자인 개념에 대한 전문지식을 십분 활용하여 "UIS" 광학 개념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혁신적인 Y형 현미경 디자인을 만들어냈습니다. 이는 Olympus의 세계정상급 능력을 보여주는 결실이었습니다.
UIS 대물 렌즈: 1993년 자세히 보기 | BX 시리즈: 1993년 자세히 보기 | AX 시리즈: 1994년 자세히 보기 | CX 시리즈: 1997년 자세히 보기 |
현미경의 기본 구성은 정립형과 도립형으로 나뉩니다. 도립현미경은 표본을 아래로부터 관찰하는 데 사용됩니다. 2차 세계대전 전에 철, 강철 등의 금속 물질에 관한 연구와 분석을 위해 처음 개발되어 사용되었습니다. 전쟁 후에는 생물학 연구 분야가 진보하면서 과학자들이 라이브 셀 관찰에 도립현미경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도립형 금속현미경: 1954년 자세히 보기 | GX 시리즈: 2001년 자세히 보기 | 도립형 생물현미경: 1958년 자세히 보기 | IX 시리즈: 1994년 자세히 보기 |
인간은 두 눈을 통해 사물을 3차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실체현미경은 이를 활용하여 3D 이미징을 가능하게 합니다. 실체현미경은 물체 표면의 불규칙성이나 거리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공장에서 구성부품을 조립하거나 정밀 부품을 시험할 때 사용됩니다. 실체현미경은 역사가 깊으며 제1세대 모델은 1924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수년에 걸쳐 수요에 맞추어 진화하면서 더욱 쉬운 사용성과 성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XA 쌍안 실체현미경: 1933년 자세히 보기 | X 쌍안 실체현미경: 1959년 자세히 보기 | SZ 실체현미경: 1961년 자세히 보기 | JM Gem 현미경: 1967년 자세히 보기 | SZH 고급 실체현미경: 1984년 자세히 보기 |
현미경은 관찰, 검사, 기록을 위한 도구에서 검량, 측정을 위한 도구로 진화했습니다.
과학적 필요가 발전하면서 측광, 비색법 등을 통해 정량화할 수 있는 현미경이 개발되었습니다. 이러한 "색상" 데이터는 세포간/유전학 연구의 발전으로 이어졌습니다. 더불어, 현미경 응용분야도 LCD TV용 광 필터에 대한 시험 등 여러 부문으로 확대되었습니다.
MMSP: 1971년 자세히 보기 | LSM 시리즈: 1990년, 1992년 자세히 보기 | FV500/300: 1998년 자세히 보기 | FV1000: 2004년 자세히 보기 |
디지털카메라는 현미경 이미지와 관찰내용을 기록하는 방식을 크게 간소화했습니다. 디지털카메라가 발명되기 전에는 현미경 사진 촬영이 힘들고 수고스러운 작업이었으며, 연구자들은 적절한 필름을 선택하는 과정을 학습하고 노출 시간을 결정하며 촬영한 이미지를 인화하면서 시간을 낭비해야 했습니다. 현미경 사진 장치의 발전이 계속되면서 연구 시간이 감소했습니다.
PMC(초창기 사진 장치) 자세히 보기 | PM I, PM II: 1934년 자세히 보기 | PM-5, 6, 7: 1951년 ~ 자세히 보기 | PM-10-A: 1971년 자세히 보기 | PM-10-AD: 1980년 자세히 보기 | DP10: 1998년 자세히 보기 | DP20: 2005년 자세히 보기 | DP71: 2006년 자세히 보기 |
Sorry, this page is not
available in your country.